처서와 처서매직 뜻과 의미
처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로, 여름의 더위가 서서히 물러가고 가을의 문턱에 다다른 시점을 의미합니다. 양력으로 8월 23일 무렵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부터 날씨가 점차 서늘해지기 시작합니다. 2024년에는 8월 22일이 처서입니다. 그래서 처서는 '더위가 그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절기가 오면 사람들은 여름의 끝을 실감하며, 선선한 바람과 함께 가을을 준비하게 됩니다.
처서(處暑)의 뜻과 유래
처서는 '처(處)'와 '서(暑)'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로, 여기서 '처'는 물러간다는 의미를, '서'는 더위를 뜻합니다. 따라서 처서는 '더위가 물러가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이 시기에는 여름 동안 뜨겁던 햇살이 누그러지고, 한낮의 기온도 점차 내려가며, 저녁과 아침에는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처서가 지나면서 논두렁의 풀을 깎고, 산소를 찾는 벌초와 같은 가을맞이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또한, 처서가 지나면 곡식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맑은 날씨와 강한 햇볕이 중요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이 시기에 비가 오면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처서 무렵의 날씨가 한 해 농사의 성패를 좌우한다고도 말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처서에는 맑은 날씨를 바라며, 비가 오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처서매직, 마법 같은 가을의 시작
'처서매직'이란 말은 이러한 처서의 특징에서 유래한 신조어로, 처서가 지나면 마치 마법처럼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시원한 날씨가 찾아온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예년에는 처서가 지나면서 더위가 누그러지고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했는데, 이런 현상을 사람들은 '처서매직'이라 부르며 자연의 신비로움을 느끼곤 했습니다.
이전에는 입추, 말복, 그리고 처서가 지나면 한여름의 더위가 가시고, 더 이상 에어컨 없이도 시원한 바람을 느낄 수 있었던 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처서가 다가오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시원한 날씨를 기대하며,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랠 수 있었죠.
올해 처서매직은 왜 없을까?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해 전통적인 계절 변화의 패턴이 점점 무너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처서가 지나도 무더위가 계속될 것이라는 예보가 나오면서, 처서매직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올해 처서매직이 사라진 이유가 무엇인지 더 궁금하시다면, 다음 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