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이 술을 마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사회적인 상황에서는 술을 마시고 인간관계를 만들거나 교제를 하거나 단순히 그날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도 한다. 또 수치, 좌절, 패배, 불안, 외로움 등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술의 힘을 빌리는 경우도 있고 피할 수 없는 분노를 억누르기 위해 술을 찾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술'은 기분을 좋게 하거나 좋게 하기 위해 알코올이라는 약으로서의 기분 전환을 위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이다. 즉, 알코올이라는 약의 효과를 즐기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목적이나 목적과는 반대로 음주가 불쾌하고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알코올은 우리의 기분을 바꿔주는 약이 아니라 사실 뇌손상까지 일으킬 수 있는 신경 독이기 때문이다. 술을 적당히 마시는 것은 우리 몸..

강호순 사건은 2009년 경기도 일대를 돌며 불에 탄 여성과 장모, 아내를 살해한 사건으로 한국 사회에 충격을 줬다. 그는 언론을 통해 드러났지만 우리가 상상했던 그가 아니었다. 미소를 지으며 자신을 키우고 있는 시베리안 허스키의 옆에 서면 마음씨 착한 이웃처럼 보였다. 그의 이웃들도 그를 좋은 시민으로 묘사했고 그들은 그가 그런 끔찍한 일을 하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그는 잔혹한 살인범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음에도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함께 수감된 죄수들을 복속시키고 왕처럼 살아감으로써 교도관들을 놀라게 했다. 형사가 사건과 관련된 질문을 하자 미소를 지으며 심술궂은 표정을 지으며 수사에 전혀 협조하지 않았다. 사이코패스 뜻 이런 식으로 평생 타인의..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긴급을 다투는 질환이다. 뇌졸중은 뇌혈관 폐쇄로 인한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와 뇌혈관 파열로 인한 뇌 내 혈액 축적으로 인한 뇌출혈(출혈성 뇌졸중)로 나뉜다. 허혈성 뇌졸중이 전체 뇌졸중의 약 85%를 차지해 출혈성 뇌졸중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에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노인성 질환으로 인식됐지만 최근에는 30~40대 뇌졸중 발생이 늘고 있다. 뇌졸중 원인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동맥경화나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판막이나 심방세동 등 심장질환과 뇌동맥류, 뇌혈관 기형, 다양한 유전적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뇌출혈은 다른 위험인자에 비해 혈압과 연관성이 높고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하인 사람은 그 이하인 사람에 비해 4..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 오메가3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오메가3은 생선, 들기름, 참기름 등에 함유된 지방으로 체내의 나쁜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고기보다는 생선을 찾고 오메가3을 먹을 정도가 아니라 기능성 식품이나 영양 보조 식품으로 섭취한다. 지방도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무조건 지방을 멀리할 필요는 없다. 또 지방을 섭취한다면 오메가3처럼 몸에 좋다고 알려진 지방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오메가3도 일반적으로 몸에 좋은 지방과 마찬가지로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이다. 하지만 아무리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라도 잘 모르고 제대로 섭취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